원천콘텐츠 발굴 및 활용
지역의 고유문화를 담고 있는 이야기들과 전국 232개 문화원 소장자료를 디지털화 하여 자원화 함으로써
전국민의 지역문화자원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입니다.
사업목적
-
지역 고유문화를 담고 있는 이야기의 콘텐츠화를 통한 K-콘텐츠의 원천 자료 확보
-
전국 232개 지방문화원 소장자료 디지털화를 통한 지역문화자원화로 지역간 문화정보 격차 해소 및 소실 위기의 기록물 보존
-
지방문화원 통합자료관리시스템을 통한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민간기록물의 수집·보존·관리 기능 확장
지역N문화 주요 메뉴 소개
-
지역문화 Pick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 콘텐츠 248건
-
테마스토리
생활문화, 역사문화유산, 산업, 국난극복 6개 테마 아래 37개 주제로 제작된 지역문화 이야기자료 1만 건
-
지방문화원 자료
전국 232개 지방문화원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 목록 및 원문보기 서비스
-
포스트 큐레이션
기념일, 절기, 계절 등 시기마다 다양한 주제로 구성한 지역문화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
지역문화 정보
지역별 문화행사, 관광, 문화시설, 축제, 쇼핑, 음식점 등 지역 통합정보 서비스 제공(한국관광공사 연계)
지역문화 빅데이터 센터 구축
관광 및 축제 분석 위주로 활용되고 있는 기존의 문화 데이터 영역에서
보다 전문적인 지역 고유문화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로서 지역문화 빅데이터 센터 구축
기대효과
-
지역문화 분석을 통한 지역의 관광상품 개발 및 지역문화 소비 촉진
-
정사-야사 데이터의 결합을 통한 역사적 사실 분석에 다면적 연구 활성화
-
데이터 유통 선순환 체계 마련을 통한 데이터 산업 성장 동력 강화
센터 데이터 소개 (27종)
-
원천 데이터
(13종)
지역문화 소장자료, 지역문화 문서, 지역문화 멀티미디어, 지역문화 VR, 지역문화 기획콘텐츠, 지역문화 교과과정 추천학년 분류, 전국 지명 유래와 지역이야기, 지역 민속문화 이야기, 지역문화 성씨, 지역이야기와 역사인물, 지역이야기와 예술인, 인물·사건·공간으로 보는 지역문화 개체명 사전, 플롯과 장르로 본 지역설화
-
사용자 기반 데이터
(8종)
지역문화예술인 콘텐츠 사용자 성별 및 관심도, 지명유래 콘텐츠 사용자 성별 및 관심도, 지역시장과 지역이야기, 지역축제와 지역이야기, 근대문화역사유산과 지역이야기, 성과 옛도로와 지역이야기, 향토음식과 지역이야기, 문화콘텐츠 세대별 이용자 특성
-
타 데이터 융합 데이터
(6종)
지역축제이야기와 인근 관광정보 데이터, 소멸위험 지역의 문화관광자원, 소멸우려지역의 문화관광자원,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문화자원, 지역 특산물 유래와 판매 현황, 도보여행자를 위한 대중교통 인접 지역문화 관광지
디지털 생활사 아카이빙 사업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주민을 기록가로 양성하여, 지역민을 대상으로 지역의 생활사, 사회·경제 ·문화적 사건을 구술채록함으로써
지역 애향심 고취, 세대간 연대 기회 확장, 구술기록 확보를 통한 기록 전승·보존
추진 배경
-
관리 사각지대에 있던 민간기록물에 대한 통합적 관리 대책 마련 필요에 따라 지역주민 참여형 민간기록물 수집 전략 필요
-
가속화된 지역소멸 위기로 인한 훼손·멸실 위험 지역의 근현대문화 및 지역어 등 지역문화자원 토대로서 구술자료·구술발화 역할 확장 요구
-
기록물 수집·보존 차원 이상의 과거와 현재를 매개하는 미디어로서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아카이브 요구 증대
사업방향
-
기록의 전문성 확보
-
구술자료 콘텐츠 개방
-
지역 내 연계 활용 확대
2022년 주제 - 원주, 이주, 선주
2023년 주제 - 생업과 경제활동